일상생활속 유익한 건강정보

기관지염 증상 총정리 – 감기와 다른 점, 만성화 여부까지 체크하세요

djasiofjoi4 2025. 8. 6. 09:57

기관지염 증상 총정리 – 감기와 다른 점, 만성화 여부까지 체크하세요

갑자기 기침이 오래가고 가래가 늘어난다면 단순한 감기가 아니라 ‘기관지염’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.
특히 기침이 3주 이상 지속되고, 가래나 흉통, 숨 가쁨이 동반된다면
감기를 넘어 급성 혹은 만성 기관지염일 수 있어요.

기관지염은 폐로 들어가는 숨길인 ‘기관지’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,
면역력이 약해지거나 자극 물질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누구나 걸릴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기관지염의 주요 증상 8가지를 중심으로
급성과 만성 기관지염의 차이, 언제 병원에 가야 하는지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총정리해드릴게요.


1. 기침이 오래 지속된다

기관지염의 대표 증상은 지속적인 기침입니다.
초기에는 마른기침처럼 시작되지만 점차 가래가 섞인 기침으로 진행되죠.

  • 급성 기관지염: 대개 2~3주 정도 지속
  • 만성 기관지염: 1년에 3개월 이상, 2년 연속 기침 지속

기침이 밤에 심해지거나 자는 동안 깨는 경우도 많습니다.

 

2. 가래가 많아지고 색이 진해진다

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면 분비물이 증가해 가래가 늘어나고,
색도 투명 → 흰색 → 노란색 또는 초록색으로 탁해질 수 있습니다.

  • 세균성 감염 시 진한 색의 가래가 많아짐
  • 가래가 끈적이거나, 냄새가 나는 경우 병원 진료 필요

3.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다

염증으로 인해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호흡곤란이나 흉부 불편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.
특히 만성 기관지염의 경우 **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휘파람 소리(천명)**가 날 수 있어요.

  • 운동하거나 계단 오를 때 숨이 차는 느낌
  • 흡연자라면 더 악화될 가능성 높음
 

4. 미열 또는 오한이 있다

급성 기관지염은 감기와 유사한 미열, 오한, 몸살 같은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.
하지만 고열은 드물고, 열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간다면 폐렴 등 합병증을 의심해야 합니다.


5. 목이 따갑고 건조하다

기관지 점막이 자극받으면 인후통이나 목 이물감이 동반됩니다.
목이 칼칼하거나 따가운 느낌, 헛기침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죠.

  • 마른 환경, 흡연, 먼지 노출 시 증상 악화
  • 물 자주 마시는 습관이 도움이 됨

6. 말할 때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쉰다

기침과 염증으로 인해 성대 주변이 자극을 받아
목소리가 쉬거나 탁해지는 경우도 흔합니다.

  • 회복되면서 점차 정상으로 돌아오지만
  • 쉰 목소리가 오래 간다면 후두염 동반 여부 체크 필요

7. 피로감과 무기력함

기관지염은 기본적으로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잘 발생합니다.
몸 전체적으로 기운이 없고, 무기력해지며 일상생활이 피곤하게 느껴지는 것도 초기 징후일 수 있어요.

  • 장기간 지속될 경우 기저질환 유무 확인 필요
 

8. 호흡 시 가슴에서 잡음이 난다

청진기로 들었을 때 기관지에 분비물이 많으면 가슴에서 ‘끈적한 소리’가 들리기도 합니다.
자각증상으로는 숨을 들이쉬거나 내쉴 때 이상한 소리가 들리는 느낌일 수 있어요.

  • 천명(쌕쌕거림), 거품 끓는 소리 등
  • 특히 소아나 고령자, 천식 병력 있는 사람은 주의

기관지염 증상 요약표

증상 특징 주의사항

기침 2~3주 이상, 낮밤 없이 지속 만성일 경우 병원 진료
가래 양 많아지고 진한 색 세균 감염 가능성 ↑
숨참 기관지 염증으로 협착 운동 시 악화
미열 몸살, 오한 동반 가능 고열이면 폐렴 의심
목 통증 따가움, 건조함, 이물감 물 섭취 증가
쉰 목소리 성대 자극으로 발생 장기화 시 후두염 의심
피로감 전신 무기력, 면역 저하 회복 늦으면 검사 필요
잡음 숨 쉴 때 가슴에서 소리 천식, COPD 감별 필요
 

급성 vs 만성 기관지염 비교

항목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

발생 원인 바이러스 감염, 급성 염증 장기적 흡연, 대기 오염 등
지속 기간 2~3주 이내 1년에 3개월 이상, 2년 이상 반복
주요 증상 기침, 가래, 가슴 불편감 지속적인 기침, 호흡곤란, 가래
치료 방식 대증요법, 휴식, 수분 섭취 금연, 폐 기능 개선 치료 필요
대상 전 연령층 주로 중장년층, 흡연자

이런 경우 꼭 병원 방문하세요

  • 기침이 3주 이상 지속될 때
  • 고열(38.5도 이상)이 동반될 때
  • 누런 가래와 함께 가슴 통증이 있을 때
  • 호흡곤란이나 쌕쌕거림이 심할 때
  • 65세 이상이거나, 천식·만성폐질환 병력이 있을 경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