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상생활속 유익한 건강정보

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, 어떻게 구별할까? – 증상·진단·치료까지 완벽 비교 정리

jdioados3 2025. 5. 23. 14:34

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, 어떻게 구별할까? – 증상·진단·치료까지 완벽 비교 정리

팔이 잘 안 올라가고 어깨가 자꾸 아프다면?
많은 분들이 “이거 오십견인가요, 회전근개파열인가요?” 하고 물어보시곤 합니다.
두 질환은 비슷한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지만,
원인도, 치료도, 회복 경과도 완전히 다른 질환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의 차이점,
자가 진단법, 병원에서의 검사 방법,
그리고 각 질환별 치료와 회복 기간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

1. 두 질환, 어떻게 다를까? (한눈에 비교)

구분 오십견 (유착성 관절낭염) 회전근개파열

주요 원인 어깨 관절막 유착 (염증 + 관절 운동 제한) 어깨 힘줄 손상 (찢어지거나 염증)
발생 연령 50대 전후에서 주로 발생 40대 이상 근력 약화 + 과사용
통증 위치 어깨 전반, 깊은 통증 팔을 들거나 돌릴 때 찌릿한 통증
통증 성격 야간통증 뚜렷, 둔하고 깊음 특정 각도에서 찌르는 통증
움직임 제한 모든 방향에서 자발적·수동적 제한 자발적 제한은 있으나 도움 주면 올라감
특징 팔 들려고 해도 혼자든 타인이든 안 올라감 타인이 도와주면 올라가지만 통증 심함
회복 시기 수개월~1년 내 자연 회복 가능 찢어진 정도 따라 수술적 치료 필요 가능성 있음

2. 오십견 특징 – 어깨 전체가 얼어붙은 느낌

✅ 주요 증상

  • 팔을 앞·옆·뒤로 전반적으로 올리기 어려움
  • 혼자도 못 들고, 남이 도와줘도 올라가지 않음
  • 야간에 통증이 심해서 잠을 자다 깰 정도
  • 통증보다는 움직임 제한이 먼저 오는 경우도 있음
  • 머리 감기, 속옷 후크 채우기, 옷 입기가 불편해짐

✅ 진행 단계 (자연 경과)

  1. 동결기 (통증 시작 + 움직임 제한 시작)
  2. 냉동기 (움직임 거의 불가능)
  3. 해빙기 (서서히 회복)

✅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 +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좋아짐


3. 회전근개파열 특징 – 팔을 들 때 찌릿, 회전 힘줄 손상

✅ 주요 증상

  • 팔을 옆으로 들거나, 특정 각도에서 심한 통증
  • 팔은 도와주면 올라가지만 힘이 빠짐
  • 야간에도 통증 있으나 움직일 때 찌르는 통증이 핵심
  • 운동 후, 무거운 물건 들고 난 뒤 증상 악화
  • 40~60대 테니스, 골프, 등산 등 어깨 많이 쓰는 분에게 많음

✅ 파열 범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짐

  • 부분 파열: 움직일 수는 있지만 계속 아픔
  • 완전 파열: 팔 올릴 수 없고, 지속적 통증

✅ 물리치료·주사로 호전 안 되면 관절내시경 수술 고려


4. 자가진단 간단 테스트

동작 해석

팔을 옆으로 들어보세요  
→ 도와줘도 잘 안 올라간다 오십견 가능성 ↑
→ 도와주면 올라가지만 아프다 회전근개파열 가능성 ↑
뒤로 손을 넣어 허리까지 가나요?  
→ 아예 못하면 오십견 가능성  
→ 움직이긴 되는데 아프면 회전근개  
밤에 통증이 가장 심한가요?  
→ 오십견·회전근개 모두 가능,  
→ 단, 오십견은 야간통증 + 움직임 제한 동반  

5. 병원에선 어떻게 진단할까?

검사 용도

X-ray 어깨 뼈 간격, 관절 변화 확인
초음파 회전근개 찢어짐 여부 빠르게 확인
MRI 정확한 손상 범위 확인, 수술 여부 판단
이학적 검사 특정 각도에서 통증 유발 여부 확인

✅ 오십견은 MRI에서도 명확한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 많고, 회전근개는 초음파로도 파열 확인 가능


6. 치료법 차이

항목 오십견 회전근개파열

기본 치료 진통소염제, 물리치료, 운동치료 물리치료, 스테로이드 주사
효과 없음 시 관절낭 유리술 (관절 내 유착 제거) 관절내시경 수술 (봉합 or 제거)
회복 시기 수개월~1년 부분 파열은 수개월, 완전 파열은 수술 후 6개월 이상
재활의 중요도 높음 매우 높음 – 특히 수술 후 재활 필수

7. 병원에 가야 할 타이밍

  • 3주 이상 통증 지속 + 팔 움직임 제한 생길 때
  • 밤에 통증으로 자다 자주 깨는 경우
  • 팔이 전보다 안 올라가거나 힘이 확 줄었을 때
  • 주사나 물리치료로도 호전이 없을 때